회원광장

HOME 회원광장 공지사항

공지사항

[질병청]원숭이두창 국내 유입방지를 위한 감시·대응 강화(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, FAQ)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작성일22-05-24 22:38 조회2,689회 댓글0건

본문

[질병청]원숭이두창 국내 유입방지를 위한 감시·대응 강화(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, FAQ)

- 원숭이 두창 감염유입 방지를 위해 감시·대응 강화

- 입국 시 모든 여행객은 발열체크와 건강상태질문서를 징구하고

- 귀국 후 3주 이내 의심증상*이 있을 경우 즉시 질병관리청 콜센터(1339) 연락 당부

  * 38도 이상 발열, 오한, 두통, 림프절부종, 얼굴을 시작으로 손, 발에 퍼지는 수두와 유사한 수포성 발진이 특이증상

 

▶원숭이두창 감시 및 대응 강화

□ ‘22년 5월 이후 유럽, 미국, 이스라엘, 호주 등 원숭이 두창이 풍토병이 아닌 18개국에서 원숭이 두창 감염 및 의심사례가 다수 보고되었고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(5.24. 기준).

 ○ 원숭이 두창은 나이지리아, 카메룬, 중앙아프리카공화국, DR콩고 등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일부 국가의 풍토병으로, 영국 및 미국 등에서 산발적인 유입사례가 보고되었었다.

 ○ 최근에는 이례적으로 풍토병이 아닌 국가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며, 국외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국내 유입가능성도 점차 증가하는 상황이다.

□ 이에 질병관리청장은 여행객 등에게 해외에 방문할 경우 마스크 착용, 손씻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요청하였다.

 ○ 또한, 부득이하게 원숭이두창 발생지역을 여행할 경우에 원숭이두창이 전파될 수 있는 야생동물 및 발열‧발진 등 유증상자와의 접촉을 피할 것을 당부하였다.

 ○ 한편, 원숭이 두창은 일반적으로 사람 간 감염이 드문 것으로 평가되나, 해외여행 증가와 비교적 긴 잠복기(통상 6~13일, 최장 21일)를 고려, 원숭이 두창 발생국가를 방문하고 온 여행객을 대상으로 유입사례 발생에 대비해,

  - 입국 시 모든 여행객은 발열체크와 건강상태질문서를 징구하고 있고,

  - 귀국 후 3주 이내 의심증상*이 나타난 경우에는 질병관리청 콜센터(1339)로 우선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.

   * 38도 이상 발열, 오한, 두통, 림프절부종, 얼굴을 시작으로 손, 발에 퍼지는 수두와 유사한 수포성 발진이 특이증상

  - 향후에도 질병관리청은 해외유입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, 앞으로 상황변화에 따라 해외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해외유입 관리 강화조치들을 검토해나갈 예정이다.

 ※ 일부 안내서에 해당 질병을 ’천연두‘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일본식 표기로 정식 질병 명칭은 ’두창‘입니다.

 

▶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

>> 일반적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 

­ 마스크 착용 및 개인적인 위생(손 씻기 등) 수칙 준수

­ 오염된 손으로 눈, 코,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

­ 보건인력 환자 관리 시 상황(치료, 간호, 이송 등)에 적절한 개인보호구 착용 및 관리조치 적절 수행 

>> 원숭이두창 발생지역 방문 시 주의사항

  ­ 방문 전, 원숭이두창 풍토병 지역 및 발생지역* 확인

   * 서아프리카, 중앙아프리카, 영국, 포르투갈 스페인, 스웨덴, 미국, 캐나다, 이탈리아, 벨기에, 독일, 네덜란드, 이스라엘, 스위스, 호주, 덴마크, 오스트리아

  ­ 아프리카 등 발생지역에서 설취류(다람쥐 등), 영장류 및 동물사체 접촉금지 및 이들의 야생고기를 다루거나 먹지 않기

­ 원숭이두창 (의심)환자와 접촉 금지

. 원숭이두창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과 접촉금지 

. 원숭이두창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의 물건 등과 접촉 금지

. 원숭이두창 발생지역 야생동물 접촉금지

 

>>원숭이두창 발생지역 방문 후 주의사항

  ­ 귀국 후 21일 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이 있을 시, 질병관리청 콜센터☏ 1339로 먼저 상담 문의 

  ­ 귀국 후 검역 시 검역관에게 반드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

 

▶원숭이두창 FAQ

Q1. 원숭이두창은 사람에게 어떻게 전파됩니까?

A. 감염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(타액, 소변, 구토물 등) 등이 피부상처 또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되거나 환자의 성 접촉으로 정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.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옷, 침구류, 감염된 바늘 등이 사람의 점막, 피부 상처 등에 직접 접촉하여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. 또한, 감염된 원숭이, 다람쥐 등 동물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. 

 

Q2. 원숭이두창의 잠복기는 어느 정도입니까?

A. 감염 후 5~21일(평균 6~13일)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. 

 

Q3. 원숭이두창의 주요 증상은 무엇입니까?

A. 발열, 두통, 근육통, 요통, 근무력증, 오한, 허약감 등을 시작으로 1-3일 후에 얼굴 중심으로 발진증상을 보이며, 원심형으로 몸의 다른 부위(특히 사지)로 발진이 확산, 구진성 발진은 수포, 농포 및 가피 등으로 진행되며 특정 부위 발진은 대개 같은 진행 단계인 것과 림프절병등이 특징이며 증상은 약 2-4주 지속됩니다.

 

Q4. 원숭이두창의 감염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?

A. 원숭이두창 발생지역 방문을 자제하고,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혈액, 체액 접촉 시 개인보호구 사용 및 야생동물 취급·섭취 등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공지사항 목록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
공지 [보건소/중요]2025년 의료기관 종사자 범죄경력조회에 따른 자료제출 인기글첨부파일 08-08 793
공지 수원시의사회 제11회 학술대회 개최 (11/01,토) 인기글첨부파일 07-21 406
공지 2025년도 의사회비 납부안내 인기글첨부파일 05-08 2227
2079 [보건소]의료기관 감염관리 수칙 철저 이행 첨부파일 08-19 31
2078 [심포지엄]아렉스비&싱그릭스 심포지엄 (09/02) 인기글첨부파일 08-11 126
2077 [보건소]의료기관 레지오넬라증 관리 강화 인기글첨부파일 08-07 106
2076 [보건소]의료기관 화재예방및 발생시 대응 안전관리 인기글첨부파일 08-07 109
2075 [연수교육]제9회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수강좌 (09/20) 인기글 08-04 111
2074 [보건소]치쿤구니야열 국내유입 대비 의심입국자 관리 철저 안내 인기글첨부파일 08-04 109
2073 [의협/질병관리청]예방접종 실시기준 및 비용상환 기준 변경 안내(Td 6차 및 A형 간염 백신) 인기글첨부파일 08-04 332
2072 [복지부]'휴·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' 구축(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서버 저장…휴폐업 의료기관 이용 ) 인기글첨부파일 07-24 226
2071 [식약처]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확대 시행(ADHD, 식욕억제제) 인기글첨부파일 07-24 227
2070 [의협/포스터] 민생회복 지원금 의원진료비 사용 가능합니다. 인기글첨부파일 07-23 485
2069 [중요/의협신문]엑스레이장비 검사 (3년마다) 미점검시 과태료 및 삭감대상 주의 인기글 07-21 174
2068 [보건소]2025 경기 기후보험 신청에 대한 안내 인기글첨부파일 07-14 188
게시물 검색